중간점검) 표준편차, 표본오차, 표준오차 용어 정리
1. 배경 이론1) 내 필기.. 2) 용어 정리확률변수 X : 어떤 사건・현상을 실수로 전환하는 함수확률분포 : 각각의 확률변수 값이 나타날 확률의 분포를 나타낸 것- 확률분포 ⊃ 이산형 확률분포, 연속형 확률분포 - 이산형 확률분포 ⊃ 이항분포, 포아손분포, 기하분포, 초기하분포 등 - 연속형 확률분포 ⊃ 정규분포, f 분포, t 분포, chi-square 분포 등정규분포 : 평균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인 연속형 확률변수's 확률분포 X~N(𝜇, 𝝈²) : 확률변수X(평균𝜇, 분산𝝈²)의 정규분포중심극한정리 : 표본크기 n이 일정 이상 크다면 모집단의 분포가 무엇이든 간에 표본평균x̅의 분포는 정규분포(평균𝜇, 표준편차𝝈/√n)를 따름표준정규분포 : 확률변수Z = (X-𝜇)/𝝈 Z~N(0, 1) : 확률변..
2024. 7. 4.
02-8 자료형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 변수
>>> a = [1, 2, 3]>>> b = a[:] #리스트 a의 처음~끝 요소 슬라이싱>>> a[1] = 4>>> a[1, 4, 3]>>> b[1, 2, 3] #리스트 a의 값을 바꾸더라도 리스트 b에 영향x📖 변수란?변수의 형태 : '변수 이름 = 변수에 저장할 값'at 파이썬, 변수 ≒ 객체객체 : 자료형의 데이터(값)다음의 a, b, c 같은 예를 '변수'라 함>>> a = 1>>> b = "python">>> c = [1, 2, 3][Ex] a = [1, 2, 3]# [1, 2, 3] 값을 가지는 리스트 데이터(객체)가 자동으로 메모리에 생성됨# 변수 a는 [1, 2, 3] 리스트가 저자오딘 메모리의 주소를 가리킴>>> a = [1, 2, 3]>>> id(a) #파이썬 내장 함수..
2024. 6. 27.
02-5 딕셔너리 자료형
📖 딕셔너리란?Key · Value를 한 쌍으로 가지는 자료형 ex : Key - baseball / Value - 야구딕셔너리는 Key를 통해 Value를 얻음 리스트·튜플처럼 순차적으로 해당 요솟값을 구하지x즉, baseball이라는 단어의 뜻을 찾기 위해 사전의 내용을 순차적으로 모두 검색하는 것이x, baseball이라는 단어가 있는 곳만 펼쳐봄 1. 딕셔너리는 어떻게 만들까?1) 딕셔너리 형태{Key1: Value1, Key2: Value2, Key3: Value3, ...}>>> dic = {'name': 'pey', 'phone': '010-9999-1234', 'birth': '1118'}#Key는 각각 'name', 'phone', 'birth'#Value는 각각 'pey', '010-..
2024. 6. 27.
02-4 튜플 자료형
📖 튜플(tuple) 이란?리스트와 거의 비슷 - 리스트는 [] / 튜플은 ()으로 둘러쌈 - 리스트는 요솟값의 생성·삭제·수정이 가능 / 튜플은 요솟값을 바꿀 수 없음수시로 요솟값을 변화시켜야할 때 : 리스트를 사용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요솟값이 변하지 않기를 바랄 때 : 튜플을 사용 1. 튜플은 어떻게 만들까?t1 = ()t2 = (1,)t3 = (1, 2, 3)t4 = 1, 2, 3t5 = ('a', 'b', ('ab', 'cd'))리스트와의 차이점- t2 = (1,) 처럼 1개의 요소만 가질 때도 요소 뒤에 쉼표(,)를 붙여야 함- t4 = 1, 2, 3 처럼 소괄호 () 를 생략해도 됨 2. 튜플의 요솟값을 변경하려고 하면 어떻게 될까?1) 튜플 요솟값을 삭제하려 할 때>>>..
2024.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