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지식12 03. GitHub Actions CI/CD 흐름 📖 학습 목표GitHub Actions를 활용한 CI/CD 흐름1. GitHub Actions를 활용한 CI/CD 흐름1) CI/CD 흐름을 이해하기 위한 GitHub Actions 개념 정리GitHub Actions: 로직을 실행시킬 수 있는 일종의 컴퓨터CI/CD 과정에서 GitHub Actions 역할: 빌드, 테스트, 배포에 대한 로직을 실행시킴 GitHub Actions에 대한 개념을 이 정도로 잡아두고, CI/CD 전체 흐름을 살펴보자! 2) CI/CD 전체 흐름CI/CD 구성 방식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 흐름을 가짐① 코드 작성 후 Commit② GitHub에 Push③ Push를 감지하여 GitHub Actions에 작성한 로직이 실행됨빌드 (Build)소스 코드 컴파일: 소스 코.. 2024. 12. 17. 02. GitHub Actions 📖 학습 목표CI/CD 구축할 때 사용할 Github Actions1. CI/CD 구축할 때 사용할 GitHub Actions1) CI/CD를 구축할 때 사용할 툴CI/CD를 구축할 수 있는 툴에는 여러가지가 있음GitHub ActionsGitLab CI/CDJenkinsCircle CITravis CI GitHub Actions GitLab CI/CD Jenkins Circle CI Travis CI 호스팅클라우드 기반(GitHub 제공)클라우드 및 자체 호스팅자체 호스팅클라우드 및 자체 호스팅클라우드 기반빌드용 서버구축 필요 여부불필요 (GitHub에서 제공)선택적 (클라우드/자체 서버 중 선택)필요 (자체 서버에 구축 필수)선택적 (클라우드/자체 서버 중 선택)불필요 (클라우드에서 제공).. 2024. 12. 17. 01. CI/CD를 왜 배우는 걸까? 📖 학습 목표CI/CD 란?1. CI/CD 란?CI/CD란 테스트(Test), 통합(Merge), 배포(Deploy)의 과정을 자동화하는 것CI(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 통합CD(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 배포 1) CI/CD를 왜 배우는 걸까?서비스를 운영하다보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일이 많음새로운 기능에 대한 코드를 작성한 뒤, Commit → 브랜치에 Merge → 배포배포를 할 때 직접 컴퓨터 서버(ex: AWS EC2)에 접속해서 새로운 코드를 다운받아 실행시켜줘야 함이 과정을 코드의 수정이 일어날 때마다 반복하기엔 너무 번거로움. 따라서 이런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시키기 위해 CI/CD를 도입 2) CI/CD의 일반적인 과정Develop: .. 2024. 12. 17. 01. 가상화 기술 📖 학습 목표애플리케이션 서버가상화 기술과 하이퍼바이저 가상화컨테이너 가상화도커API1. 애플리케이션 서버1) 서버란?하드웨어 or (하드웨어에서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 2) 서버와 클라이언트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을 보냄 -> 물리적인 하드웨어를 통해 소프트웨어로 전달 -> 소프트웨어가 요청에 대한 기능을 수행 -> 클라이언트에게 결과 응답 3) 서버의 종류실행 중인 소프트웨어에 따라 종류가 나뉨 파일 서버: 클라이언트에게 파일 공유 (파일 공유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서버) DB 서버: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 저장 기능 제공 (DBMS가 설치된 서버) 웹 서버 (WEB):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HTTP 요청을 보냄 -> 정적인 웹페이지를 제공 (프론트엔드) ex: Ngin.. 2024. 12. 17. AWS IP 📖 학습 목표퍼블릭 IP vs 프라이빗 IP vs 탄력적 IP탄력적 IP 요금 정책왜 EC2 접속 후, 터미널에 프라이빗 IP가 표시될까?1. 퍼블릭 IP vs 탄력적 IP vs 프라이빗 IP 퍼블릭 IP 탄력적 IP (Elastic IP) 프라이빗 IP 용도외부에서 EC2에 접근고정된 외부 IP로 EC2에 접근VPC 내부 리소스 간 통신할당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외부에 노출됨사용자에게 고정적으로 할당되어 유지됨AWS 네트워크(VPC) 내에서만 유효변경 여부퍼블릭 IP는 재부팅 시 변경될 수 있음고정된 IP, 재부팅해도 변경되지 않음프라이빗 IP는 고정(재부팅 시 유지)접속 경로외부 클라이언트가 EC2에 연결할 때 사용외부 시스템과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할 때 사용EC2 간 내부 통신 및 AWS 서.. 2024. 12. 14. AWS VPC 📖 학습 목표네트워크 란?AWS에서의 네트워크 개념AWS 인프라 간 VPC 연결 필요?VPC 내에서도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이유1. 네트워크 란?컴퓨터와 다른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스템즉, 정보를 주고받는 길 1) 정의컴퓨터와 다른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스템. 즉, 정보를 주고받는 길예시로 이해하기집에서 사용하는 Wi-Fi는 네트워크의 한 종류Wi-Fi를 통해 스마트폰, 노트북, TV가 인터넷에 연결되고 서로데이터를 주고받음2)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장치(Device): 컴퓨터, 스마트폰, 서버 등 데이터를 주고받는 주체라우터(Router): 데이터를 전달하고 경로를 정하는 장치. 집의 Wi-Fi 라우터스위치(Switch): 네트워크 내부에서 장치들을 연결인.. 2024. 12. 1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