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교육] 프로젝트 기반 빅데이터 서비스 개발자 양성 과정 9기
학습일 : 2024.11.15
📕 학습 목록
- KST 알고리즘의 활용
📗 기억할 내용
1. KST 알고리즘의 활용
1) KST 알고리즘을 통한 학습 결손 진단 & 학습 경로설계
[논문 정보]
- 제목
이상훈, 문승진. (2015). "결정적 학습 경로를 위한 지식 구조 분석 시스템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System for Critical Learning Pathway)" - 저 정보
한국지식정보학회 논문지, ISSN 1598-0170 (Print), ISSN 2287-1136 (Online)
http://www.jksii.or.kr - 요약
본 논문은 지식 공간 이론(Knowledge Space Theory)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성취를 극대화하고 학습 경로를 최적화하는 지식 구조 분석 시스템을 제안함. 기존 지식 공간 분석 도구의 불편함과 시간적 제약을 개선하기 위해, 웹 기반 시스템에서 자동화된 분석과 결정적 학습 경로를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설계함. 제안된 시스템은 학습자의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 상태를 분석하고, 학습 결손을 진단하며, 맞춤형 학습 경로를 생성함. 이를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상태에 맞는 학습 계획을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함. 제안된 방법은 학습자와 교육자 모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되었으며, 지식 구조의 체계적인 검토와 활용 방안을 제시함 - 주제어
지식 공간 이론, 지식 구조 분석, 학습 경로 설계, 학습 결손 진단, 자동 분석 시스템
1-1) KST의 기본 개념
- 지식 공간(Knowledge Space)
- 정의
- 학습자가 특정 주제를 학습하는 데 필요한 모든 가능한 지식 상태를 포함하는 공간
- 모든 학습자가 가질 수 있는 지식 상태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음
- 특징
- 학습 가능한 모든 상태를 모델링
- 학습 경로를 설계하거나 평가할 때 활용
- 정의
- 지식 상태(Knowledge State)
- 정의
- 학습자가 현재까지 습득한 개념과 그 개념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의 집합
- 특정 순간의 학습자의 상태를 나타냄
- 특징
- 지식 공간의 부분집합
- 특정 학습자의 현재 능력을 보여줌
- 정의
지식 공간 (Knowledge Space) | 지식 상태 (Knowledge State) | |
범위 | 모든 학습자가 가질 수 있는 모든 상태의 집합 | 학습자가 현재까지 습득한 특정 상태 |
내용 | 특정 주제에 대해 가능한 모든 지식 상태를 포함 | 학습자의 현재 지식과 해결 가능한 문제들 |
관계 | 지식 상태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짐 | 지식 공간의 부분집합으로 구성 |
예시 | "수학"에 대한 모든 가능한 지식 상태 | "덧셈, 뺄셈은 가능하지만 곱셈과 나눗셈은 불가능한 상태" |
[tip] 예시로 이해하기
- 지식 공간: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포함한 모든 학습 상태
- 가능한 상태들:
• 덧셈만 가능
• 덧셈, 뺄셈 가능
• 덧셈, 뺄셈, 곱셈 가능
•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가능
- 지식 상태: 현재 학습자가 "덧셈과 뺼셈만 가능"한 상태를 지식 상태로 표현
[tip2] 즉, 지식 상태는 지식 공간의 부분집합
- 지식 공간: 모든 학습자의 가능성을 포함한 큰 구조
- 지식 상태: 특정 학습자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상태
1-2) KST를 활용한 학습 결손 진단
① 학습자의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식 상태 도출
- 응답 상태(Responses)
- 학습자가 문제에 올바른 답변을 한 경우를 "1", 그렇지 않은 경우를 "0"으로 표시하여 이진수 형태로 응답 상태를 정의
- 지식 상태 변환
- 응답 상태를 기반으로 학습자의 지식 상태를 추정. 이 과정에서 가정된 지식 상태와 실제 응답 상태를 비교하여 학습자의 지식 결손 영역을 확인
- 예시:
- 문제 세트: A(덧셈), B(곱셈), C(뺄셈)
- 학습자의 응답: "A, B"를 해결한 경우, 학습자는 "C"와 관련된 선행 지식이 부족함을 도출
[figure 1] 지식 구조 변환 (Knowledge State Conversation)
- 학습자의 응답 상태를 기반으로 가정된 지식 상태와 변환된 지식 상태를 비교하는 과정
② Chi-square 계산
- Chi-square 값을 활용한 학습 결손 평가
- 가정된 지식 상태와 학습자의 실제 응답 상태 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
- 이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부족한 영역을 명확히 진단할 수 있음
[table 1] Chi-square 계산
- Chi-square 계산 과정을 알고리즘적 단계별로 나타냄
- 단계:
1) 응답 상태와 집단 데이터를 입력받음
2) 초기 지식 상태를 설정
3) 지식 상태를 변환
4) 각 상태에 대해 확률과 예상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Chi-square를 계산
5) 최종 Chi-square 값을 반환
1-3) KST를 활용한 학습 경로 설계
① 결정적 학습 경로(Critical Learning Path) 도출
- 개념 계층화 및 최적 경로 설계
- 학습자의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장 적합한 학습 경로를 도출
- 학습 경로는 학습자가 가장 적은 문제를 통해 학습 결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설계
- 예시:
- 학습자의 결손 영역이 "곱셈"이라면, "덧셈"에서 출발해 "곱셈"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설계
[figure 2] 결정적 학습 흐름도 (Critical Learning Data Flow)
- 각 지식 상태에서 학습자가 상위 상태로 이동하며 학습 결손을 보완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나타냄
- 설명:
• 이 그림은 학습 경로 상에서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지식 상태의 순차적 이동을 나타냄
• 각 원은 특정 학습 상태를 나타내며, 예를 들어 A, AB, ABC와 같은 상태는 학습자가 이해한 개념의 집합을 의미
• 빨간 화살표는 학습자가 현재 상태에서 상위 상태로 도달하기 위해 따라야 할 경로를 나타냄
• 이를 통해 학습자는 효율적으로 학습 결손을 채우며 목표 상태(예: ABCE)로 도달할 수 있음
② 결정적 학습 경로 알고리즘
- 알고리즘 개요
- 초기 지식 상태 및 학습자의 응답 데이터를 입력받음
- 각 지식 상태에서 학습자의 수와 질문의 수를 분석
- 학습자가 이해한 지식 상태를 바탕으로 상위 상태(Superset)를 찾음
- 모든 지식 상태를 계산한 후, 최적의 학습 경로를 결정
- 출력: 결정적 학습 경로는 계층적 집합으로 나타나며, 학습자가 최적 경로를 따라가도록 안내
[table 2] 결정적 학습 경로 알고리즘 (Critical Learning Path Algorithm)
- 학습자의 지식 상태와 질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학습 경로를 도출하는 알고리즘
- 주요 단계:
1) 지식 상태 집합(S_k) 중에서 가장 높은 가능성을 가진 상태를 선택
2) 각 상태를 상위 상태(superset)와 비교하여 최적 경로를 추출
3) 반복 과정을 통해 모든 가능한 경로를 확인 후, 결정적 학습 경로(S_c)를 반환
③ 학습 공간 시각화
- 그래프 구조
학습 경로는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되어 학습자가 출발해야 할 상태와 도달해야 할 상태를 명확히 보여줌- 노드: 각 학습 개념을 나타냄
- 엣지: 학습 개념 간 선후 관계를 나타냄
- 예시:
A (덧셈)
↓
B (곱셈)
↓
C (분수)
[figure 3] Test2-B 에 대한 지식 구조 (Knowledge Structure for Test2-B)
- Test2-B의 지식 구조를 계층적으로 나타낸 것. 각 노드는 특정 지식 상태(knowledge state)를 의미하며, 노드 간의 화살표는 지식 상태 간의 포함 관계를 나타냄
- 구성 요소:
1) 노드(Set):
• {}: 아무런 지식도 갖고 있지 않은 상태
• {1}, {2}, {1, 2}: 기본적인 지식 상태
• {1, 2, 4}, {1, 2, 3, 4, 5, 6}: 더 많은 개념을 포함한 상위 지식 상태
• 화살표(Edges):학습 상태 간의 선후 관계를 나타냄. 예를 들어, {1, 2}에서 {1, 2, 4}로의 화살표는 {1, 2} 상태를 이해한 학습자가 {1, 2, 4} 상태로 확장할 수 있음을 의미
- 활용:
• 이 지식 구조는 학습자가 어느 상태에 위치해 있는지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줌
• 학습자가 하위 상태(예: {1})에 머물러 있다면 상위 상태(예: {1, 2, 4})로 이동하기 위한 학습 경로를 설계할 수 있음
1-4) 구현된 시스템과 방법론적 기여
① 시스템 설계
- 입력: 학습자의 응답 데이터
- 프로세스:
-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식 상태를 변환
- Chi-square 값을 계산하여 지식 상태 간의 차이를 평가
- 결정적 학습 경로를 도출하고 시각화
- 출력: 학습 결손 분석 결과와 최적 학습 경로
[figure 4] 지식 상태 분석 시스템 (Knowledge State Analysis System)
- 학습자의 지식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의 아키텍처
- 구성 요소:
• Apache Web Server: 데이터 처리를 위한 서버
• rApache: R 언어를 활용하여 통계적 분석 수행
• HTML 인터페이스: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데이터 입력 및 결과 출력을 지원
- 학습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됨
② 시스템 도구
- Linux 기반 Apache 서버에서 실행
- R 및 JavaScript를 사용하여 통계 및 웹 환경 구현
- 사용자는 웹을 통해 지식 공간 분석 및 학습 경로 추천 결과를 확인 가능
1-5) 결론
- KST는 학습자의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 결손을 진단하고, 맞춤형 학습 경로를 설계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론임. 논문에서는 이를 자동화하고 시각화하여 학습자가 직관적으로 결과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현함.
결정적 학습 경로 알고리즘은 학습자의 지식 상태를 계층적으로 평가하고, 최적의 학습 경로를 도출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함
📙 내일 일정
- 최종 프로젝트
'TIL _Today I Learned > 2024.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 86] 중간 프로젝트_ 채점 기준 선정 (0) | 2024.11.20 |
---|---|
[DAY 84] 중간 프로젝트_ LLM (0) | 2024.11.18 |
[DAY 82] 중간 프로젝트_ KST 알고리즘의 활용 (0) | 2024.11.14 |
[DAY 81] 중간 프로젝트_ 영어 발음 채점 서비스 구현 (1) | 2024.11.13 |
[DAY 80] 중간 프로젝트_ 영어 발음 채점 서비스 구현 (0) | 202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