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
1.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 인터넷을 통해 컴퓨팅 서비스(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분석, 인텔리전스 등)를 온디맨드로 제공
[tip] 인터넷? 클라우드?
- 인터넷 : 전 세계 컴퓨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 클라우드 : 그 인터넷을 전달 수단으로 활용 →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AI, 보안 등 다양한 IT 리소스를 서비스 형태(온디맨드)로 제공
- 즉, 온디맨드는 클라우드의 특징 중 하나!
- No Capex : 사용자가 물리적 데이터 센터와 서버를 구입·소유·유지·관리하지 X
-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
On - Premise | On - Demand | |
정의 | 기업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물리적 서버에 직접 IT 서비스를 설치·운영함 |
외부 서비스 공급자가 인프라를 조달함 |
CapEx* | 높음 | X |
OpEx** | 높음 | 높음 |
TCO*** | ↑ | ↓ |
확장성 | 제한적 (물리적 장비 추가 필요) | 유연함 (필요 시 자동 확장) |
* CapEx (Capital Expenditures, 자본 비용) : 자산을 구매하거나 구축할 때 드는 일회성 비용 (ex : 서버 장비 구입, 데이터센터 구축 )
** OpEx (Operating Expense, 운영 비용) : 자산이나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비용 (ex : 서버 전기세, 클라우드 사용 요금, 유지보수)
*** TCO (Total Cost of Ownership, 총 소유 비용) : 자산 또는 시스템을 소유하고 운영하는 데 드는 전체 비용 (CapEx + OpEx)
2. 클라우드 컴퓨팅의 이점
① 초기 선투자 비용 없음
② 보안 (Security)
- 보안 기술 제공 → 잠재적인 위협으로부터 보호
③ 안정성 (Reliability)
- 데이터 백업 가능 → 재해복구 쉬움
④ 고가용성 (High Availability)
- 여러 리전·가용영역·데이터센터에 데이터 분산 배치 → 서비스가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설계
- 고가용성 실현 방안
멀티 리전 (Multi-Region) | 멀티 가용 영역 (Multi-AZ) | 다중 데이터센터 |
서로 다른 지리적 위치(대륙, 국가 등)에 데이터와 서비스를 배치하여 지역 전체에 문제가 생겨도 복구 가능 | 같은 리전 내 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센터 그룹에 인프라를 배치하여, 한 AZ가 다운되어도 나머지 AZ에서 서비스 계속 제공 | AZ 내부에서도 여러 데이터센터를 활용해 하드웨어 고장, 자연재해 등으로부터 보호 |
⑤ 탄력성(Elasticity), 확장성(Scalability)
- 수요 변화에 따른 리소스 크기 조정 → 필요한 리소스 용량을 추측할 필요 없음
⑥ 민첩성 (Agility)
- 즉시 사용 가능한 인프라 제공 → 서비스 출시 시간 단축
📗실습
1) AWS 콘솔 접속

'자격증 & 어학 > Cloud Practitioner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3. AWS 클라우드 배포 및 운영 방법 (0) | 2025.04.08 |
---|---|
01-2. AWS 글로벌 인프라의 이해 (1) | 2025.04.08 |